본문 바로가기

삼일절 행사 및 역사, 의미, 2025년 기념행사 총정리!

by 굿투박스 2025. 2. 28.

2025년 3.1절(삼일절) 행사 및 역사, 의미 총정리

3월 1일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절대 잊지 말아야 할 날입니다.
106년 전, "대한독립 만세!"를 외쳤던 그날을 기억하며

 

광복 80주년을 맞이하는 2025년 삼일절의 의미와 행사를 함께 살펴볼까요? 😊

 

31절

 

 

📜 3.1운동의 역사와 의미

 

3.1운동은 1919년 3월 1일, 일제의 식민통치에 맞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독립 만세운동입니다.
독립선언서 낭독과 함께 시작된 시위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,
100만 명 이상이 참여하며 조선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어요.

 

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서를 발표
서울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
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의 희생과 투옥
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(1919년 4월 11일)의 계기

 

👉 오늘날 우리는 그들의 희생을 기억하며 삼일절을 기념해야 합니다.

 

✊ 3.1운동 주요 인물

 

3.1운동의 정신을 잊지 않기 위해, 그날의 주역들을 함께 기억해볼까요?

 

✅ 민족대표 33인

1919년 3월 1일, 서울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33명의 지도자들입니다.
이들은 종교별로 구성되었으며,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손병희 (천도교) – 민족대표 중 중심 인물
한용운 (불교) – 승려이자 시인 (‘님의 침묵’ 저자)
이갑성 (기독교) – 가장 오래 생존한 민족대표로, 1981년까지 삼일절 기념식 참석

 

이들은 일제 경찰에 의해 체포되었지만, 조선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.

 

✅ 유관순 열사

 

3.1운동을 대표하는 여성 독립운동가로,
16세의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고향인 천안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했습니다.

✔ 4월 1일, 천안 아우내 장터에서 3,000명의 시위대 조직
✔ 일본 군경의 발포로 부모님을 포함해 19명 사망
✔ 체포 후 서대문형무소에서 고문을 받다 1920년 9월 28일 순국

오늘날 그녀의 정신은 대한민국 곳곳에 남아 있으며, 삼일절마다 추모식이 열립니다.

 

✅ 문용기

 

전라북도 익산에서 이리장날 만세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입니다.
✔ 일본 헌병이 두 팔을 베어내도 "대한독립 만세"를 외치며 순국

 

그의 용기는 오늘날까지도 전해지고 있습니다.

 

✅ 윤동주 시인

‘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’의 저자로 유명한 독립운동가이자 시인입니다.
✔ 시를 통해 일제의 억압을 고발하며 조국의 독립을 염원
✔ 28세의 젊은 나이에 일제에 의해 옥사

 

그의 시는 오늘날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어요.

 

🏛️ 2025년 삼일절 주요 행사 일정

 

📅 2025년 3월 1일(토) - 제106주년 삼일절 기념 행사

올해 삼일절은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더욱 다양한 기념행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.

 

📍 서울 지역 주요 행사

 

서대문형무소역사관


📆 일시: 3월 1일(토) ~ 3월 2일(일)


📍 장소: 서울 서대문형무소역사관

 

🔹 행사 내용:

  • 독립선언서 낭독 및 독립운동 재현 퍼포먼스
  • 한복을 입고 참여하는 3.1운동 플래시몹
  • 독립문까지 만세 행진

 

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


📆 일시: 3월 1일(토) 10:00 ~ 17:00


📍 장소: 서울 서대문구 통일로 279-24

 

🔹 행사 내용:

  • 삼일절 퀴즈 & 퍼즐
  • 무궁화 손편지 쓰기
  • 광복군 모자 만들기 체험

 

서울YMCA 기념행사


📆 일시: 3월 1일(토) 오후 1시

 

📍 장소: 서울YMCA 2층 (서울 종로구 종로69)

 

🔹 행사 내용:

  • 세종대왕 어가행렬
  • 궁중한복 패션쇼
  • 전통혼례 체험 행사

 

📍 지방 주요 행사

 

천안 독립기념관

 

📆 일시: 3월 1일(토) 10:00 - 15:15

 

🔹 행사 내용:

  • 삼일절 1919인 퍼포먼스
  • 독립선언 퍼포먼스

 

부산 동래시장


📆 일시: 3월 1일(토)


🔹 행사 내용:

  • 3·1 만세운동 재현
  • 박차정 의사 만세 퍼포먼스

 

🎗️ 삼일절을 기념하는 방법

 

태극기 달기
📌 게양 시간: 3월 1일 오전 7시~오후 6시
📌 반기 아님, 정상 게양

 

기념행사 참석하기
서울과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행사에 참여하면 삼일절의 의미를 더욱 깊이 새길 수 있어요.

 

독립운동 역사 공부하기
🎬 추천 영화: 《암살》, 《항거》, 《박열》

 

묵념과 감사의 마음 갖기
독립을 위해 희생하신 선열들을 기리며 감사한 마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💡 삼일절 관련 자주 묻는 질문 (FAQ)

 

1️⃣ 삼일절에는 쉬나요?

 

✔ 네! 삼일절은 대한민국의 법정 공휴일이에요.

2️⃣ 태극기는 언제 어떻게 달아야 하나요?

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
정상 게양(반기가 아님)

3️⃣ 삼일절과 광복절의 차이는?

삼일절(3월 1일): 독립운동이 시작된 날 (1919년)
광복절(8월 15일): 독립을 되찾은 날 (1945년)

 

🇰🇷 3.1절, 잊지 말아야 할 날!

 

삼일절은 단순한 공휴일이 아니라,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시작을 기념하는 뜻깊은 날입니다.
올해 삼일절에는 태극기를 달고, 전국에서 열리는 행사에 참여하면서
우리의 독립을 위해 희생하신 분들의 정신을 되새기는 하루가 되길 바랍니다.

 

"대한독립 만세!" 🇰🇷✊

 

 

✔ 여러분은 삼일절을 어떻게 기념하실 예정인가요?
✔ 행사에 참여하실 분들은 댓글로 공유해주세요! 😊